반응형 전체 글87 [가상화, 클라우드] 가상화와 클라우드 1. 가상화(Virtualization) 여러 물리적인 리소스들을 사용자에게 하나로 보이게 하거나, 하나의 물리적인 리소스를 여러 개로 보이게 하는 기술입니다. 대부분의 서버는 용량의 20% 정도만 사용하는데, 가상화를 통해 서버의 가동률을 60~70% 이상으로 올릴 수 있습니다. 가상화의 종류 종류 설명 플랫폼 가상화 - 하드웨어 플랫폼 위에 실행되는 호스트 프로그램이 게스트 프로그램을 만들어 마치 독립된 환경을 만들어 낸 것처럼 보여주는 기법 리소스 가상화 - 게스트 소프트웨어 위에서 사용자는 독립된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것처럼 활용하는 기법 - 메모리, 저장 장치, 네트워크 등을 결합하거나 나누기 때문에 사용자는 가상화된 물리적 장치들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 알기 어려움 가상화 기술요소 .. 2021. 2. 23. [Linux] 기본 명령어 기본 명령어 명령어 설명 uname -a 시스템의 모든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 uname -r 운영체제의 배포버전을 출력하는 명령어 cat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는 명령어 uptime 시스템의 가동 시간과 현재 사용자 수, 평균 부하량 등을 확인하는 명령어 id 사용자의 로그인명, id, 그룹 id 등을 출력하는 명령어 last 시스템의 부팅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사용자의 로그인과 로그아웃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명령어 who 현재 접속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는 명령어 ls 자신이 속해있는 폴더 내에서 파일 및 폴더들을 표시하는 명령어 pwd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 rm 파일 삭제 명령어 cp 파일 복사 명령어 mv 파일 이동 명령어 ps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 목.. 2021. 2. 16. [DB] 트리거(Trigger) 트리거(Trigger) 특정 테이블에 삽입, 수정, 삭제 등의 데이터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DBMS에서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구현된 프로그램입니다. 이벤트는 전체 트랜잭션 대상과 각행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테이블과 뷰(View), DB 작업을 대상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트리거의 목적 특정 테이블에 대한 데이터 변경을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그와 관련된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트리거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벤트와 관련된 테이블의 데이터 삽입, 추가, 삭제 작업을 DBMS가 자동적으로 실행시키는데 활용합니다. 트리거의 종류 종류 설명 헹 트리거 데이터 변화가 생길 때마다 실행 문장 트리거 트리거에 의해 단 한 번 실행 트리거의 구성 ※ 프로시저나 사용자 정의함수와 기.. 2021. 2. 16. [DB] 사용자 정의함수(User-Defined Function) 사용자 정의함수(User-Defined Function) 절차형 SQL을 활용하여 일련의 SQL 처리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단일 값으로 반환할 수 있는 절차형 SQL 입니다. DBMS에서 제공되는 공통적 함수 이외에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고 작성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함수(User-Defined Function) 구성 ※ 기본적인 개념 및 사용법, 문법 등은 프로시저와 동일합니다. ※ 종료 시 단일 값을 반환한다는 것이 프로시저와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사용자 정의함수의 호출을 통해 실행되며, 반환되는 단일 값을 조회 또는 삽입, 수정 작업에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구성요소 설명 선언부(DECLARE) 사용자 정의함수의 명칭, 변수와 인수 그리고 그에 대한 데이터 타입을 정의하는 부분 시작/.. 2021. 2. 16. [DB] 프로시저(Procedure) 프로시저(Procedure)의 개념 프로시저는 절차형 SQL 을 활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트랜잭션 언어입니다. 프로시저는 호출을 통해 실행됩니다. 일련의 SQL 작업을 포함하는 데이터 조작어(DML, Data Manipulate Language)를 수행합니다. ※ DML(Data Manipulate Language)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들을 입력, 수정, 삭제, 조회를 하는 언어로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명령이 존재합니다. 프로시저 구성 구성요소 설명 선언부(DECLARE) 프로시저의 명칭, 변수와 인수 그리고 그에 대한 데이터 타입을 정의하는 부분 시작/종료부(BEGIN/END) 프로시저의 시작과 종료를 표현하며, BEGIN/END가 쌍을 이룸 다수 실.. 2021. 2. 15. [React] React Component 1. Component 컴포넌트는 특정 부분이 어떻게 생길지 정하는 선언체이며, LifeCycle API를 이용하여 컴포넌트가 화면에서 나타날 때, 사라질 때, 변화가 일어날 때 주어진 작업을 처리할 수 있고, 메서드를 만들어 기능을 붙일 수도 있습니다다. 리액트 프로젝트에서 서로 조합이 가능한, 모듈화된 컴포넌트를 사용해 만듭니다. 2. Component 생성하기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NewComponent extends Component { render() { return ( 새로운 컴포넌트 ); } } export default NewComponent; 위 코드에서 모듈 내보내기와 불러오기 코드가 있습니다. 1. 모듈 불러오기 impo.. 2021. 2. 3. 이전 1 ··· 4 5 6 7 8 9 10 ··· 15 다음 반응형